콘텐츠 연구소

이전 포스팅에서 제가 스냅북을 이용해 애드센스 심사를 너무 쉽게 통과하고 승인까지 받았다는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기글 포스팅 바로가기 → http://alicelab.tistory.com/8 스냅북을 시작한지 사흘만이고, 애드센스 계정을 신청한지 4시간 만에 승인 메일을 받았죠.이번 포스팅에서는 스냅북의 가입 방법과 이용법, 애드센스 승인을 위한 운영 팁을 알려드리려 합니다.이렇게하면 안전하게 애드센스 승인을 받을 수 있다! 라는 몇 가지 노하우입니다. 스냅북은 다른 사람의 글을 스크랩하는 스크랩북과 같은 곳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구글 애드센스의 심사를 담당하는 구글봇은 스냅북의 글을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글로 인식한다고 합니다.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이유가 밝혀지면 이 방법이 막..

앨리스의 한국어 바로 쓰기 :D 틀리기 쉬운 한국어 맞춤법 쉽게 기억하기 점유율 vs 점유률 학생이라면 사회 시간에, 어른들은 뉴스에서 이런 표현 많이 들어보셨죠? 스포츠, 혹시 축구를 좋아하신다면 이란 표현도 늘 들어오셨을 겁니다. 들을 때나 말을 할 때는 전혀 의식하지 못하지만 막상 직접 적으려고 하면 이 단어, 뭔가 헷갈리지 않나요? 그럼, 점유율과 점유률 무엇이 올바른 표기법일까요? 정답은~~ '점유율' 그럼 왜 점유률이 아닌 점유율이 올바른 맞춤법인지 한 번 알아볼까요? 받침이 있는 말 다음에는 '률, 렬'로 적고 'ㄴ' 받침이나 모음 뒤에서는 '율, 열'로 적습니다. 보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받침이 없거나 'ㄴ'받침 율: 비율, 실패율, 규율 / 선율, 전율, 백분율 그 외의 받침 률: 명중률..

스냅북으로 빠르게 구글 애드센스 승인, 애드고시 패스! 저는 2013년부터 꾸준히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해왔습니다.포스팅은 대부분 맛집, 여행 정보, 리뷰 등이었고 네이버 메인 페이지에도 노출되면서 하루에 천 명이 넘는 방문객 수를 꾸준히 유지해오고 있습니다.그렇게 몇 년간 즐겁게 포스팅만 했는데 요즘 부쩍 '디지털 노마드'라는 단어와 함께 블로그로 수익까지 올리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더라고요. 내가 좋아하는 이야기를 실컷 하면서 소소하게 용돈까지 생기다니!! 정말 좋다고 생각했어요.그런 후기를 많이 찾아다니다가 우연히 구글 애드센스(AdSense)를 알게 됐고, 티스토리 같은 설치형 블로그에만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는 것까지 알 수 있었죠.하지만 티스토리는 초대장이 없으면 개설조차 할 수 없더라고..

앨리스의 한국어 바로 쓰기 :D 틀리기 쉬운 한국어 맞춤법 쉽게 기억하기 오뚜기 vs 오뚝이 요즘도 아기가 있는 집에서 이 장난감을 많이 가지고 있나요? 제가 어렸을 때는 정말 없는 집이 없었던 것 같아요. 장난감 가게에 가면 아주 많았던 걸로 기억하거든요. 저도 이 장난감을 갖고 노는 사진이 참 많더라고요. 한 대 때리고 제자리로 돌아오면 꺄르르 웃는 거죠!ㅋㅋㅋ 그땐 참 행복했지 말입니다. 아, 물론 지금도 행복합니다!! 그럼, 위 장난감의 올바른 맞춤법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오뚝이' 입니다! 우리가 흔히 마트에서 접하는 3분 요리 브랜드 때문에 '오뚜기'가 훨씬 익숙하고 자연스럽게 느껴지죠? ㅠㅠ 그럼 오뚝이가 왜 오뚝이인지 한 번 살펴볼까요? '오뚝이'와 '오뚜기' 중 올바른 표현은? '-하..

앨리스의 한국어 바로 쓰기 :D 틀리기 쉬운 한국어 쉽게 기억하기 설거지 vs 설겆이 '설거지'와 '설겆이' 제가 초등학생일 때부터 받아쓰기 시험 때마다 나오던 맞춤법입니다. 답을 보고 나면 '그래, 맞아. 누가 이걸 틀려?'라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어느 날 문자로 쓰려고 하면 갑자기 헷갈릴 때가 있어요. '설거지'와 '설겆이' 중 올바른 맞춤법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설거지!! 그럼, 국립국어원의 해설을 알아볼까요. '설겆이'로 적지 않고 '설거지'로 적는 것은 '설겆'과 '이'로 더 이상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설겆다'는 더 이상 '설겆어라, 설겆으니, 설겆더니'와 같이 활용하는 일이 없습니다. 따라서 '설겆-'이란 어간은 현재에는 없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표준어》제20 항에서는 이와 같..

앨리스의 한국어 바로 쓰기 :D 한국어 참 어렵죠~ 저도 요즘 일 때문에 한국어 공부를 다시 하고 있어요. '한국인이 한국어 공부라니?'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한국어 바로 쓰기가 쉬운 게 아니더라고요. 지금도 '금새 금세 맞춤법', '금새 금세 바른말' 검색해서 들어오신 분들 있으시죠? ㅎㅎ앞으로 부지런히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한국어 정보를 모아볼까 합니다.그럼 오늘 마침 친구와 카톡 하다가 이야기 나온 단어부터 시작해볼게요. 틀리기 쉬운 한국어 쉽게 기억하기 금새 vs 금세 '금새'와 '금세' 분명히 아는 것 같은데 막상 써놓고 보면 '응?' 이럴 때가 있죠. 무엇이 한국어 맞춤법에 맞는 말일까요? 스크롤을 바로 내리지 말고 답을 한 번 생각해보세요~ 정답은 '금세'입니다! 국립국어원의 설명에 따..